Type Here to Get Search Results !

[은퇴준비] 4번째 절기인 춘분에 해야하는 일과 먹는 음식

24절기중 4번째 절기인 춘분
인생 후반전


첫번째 절기인 입춘이 지나고 봄의 중간에서 4번째 절기인 춘분(春分)이 있습니다. 입춘은 봄에 들어선다는 뜻이지만, 봄처럼 따듯한 날은 아니며, 춘분이 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봄날이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춘분이 있는 이때쯤이 3한4온의 영향으로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로, 생각보다 추워지는 날을 빗데어 우리나라 속담에는 '꽃샘에 설늑은이 얼아죽는다',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정이월에 대독 터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춘분에 해야할 일과, 먹어야 하는 음식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춘분(春分)


춘분은 경칩 다음의 절기로 24절기 중 4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입니다. 경칩이 황도가 345도 일때이므로 다음 절기인 춘분은 황도가 360도(0도)인 날이며, 매년 3월 20일 또는 21일이 춘분에 해당되는 날입니다.

24절기 중에 4번째 절기인 춘분(春分)은 봄을 나눈다는 뜻인데 이날은 태양이 적도를 비추는 날로 추분과 같이 낮과 밤의 길이가 동일하게 나뉘는 날이며, 양과 음도 반반이며, 추위와 더위도 반반인 날입니다.

때문에 덥지도 않고 춥지도 않은 날이며, 농경사회였던 옛날에는 씨를 뿌리고 농사가 시작되는 날이었습니다. 이날을 기점으로 지구의 북반구는 낮이 밤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북반구 지역은 기온이 오르고 만물이 싹을틔우고 성장하고 결실을 맺는 분기점이 되는 날입니다.



춘분에 해야할 일


① 사한제 지내기
옛날에는 지금과 같이 냉장고가 없었기 때문에 얼음을 구하기가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때문에 얼음이 어는 음력 12월에 빙고에 얼음을 보관했다가 겨울이 지난 봄에 얼음을 꺼내 먹었는데요. 이때 얼음을 넣을때 장빙제를, 얼음을 꺼낼때 개빙제를 지냈고 이런 것들을 사한제라고 합니다.

지난 겨울에 빙고에 보관했던 얼음은, 더이상 얼음이 얼지 않는 춘분날에 꺼내먹기 시작하는데, 이때 개빙제라는 제사를 지내고 얼음을 꺼내먹었습니다.

현대에는 더이상 장빙제나, 개빙제를 지내지 않아도 원할때 언제나 얼음을 구할수 있기에 사한제를 지낼 이유가 없어지긴 했지만, 춘분에 지내는 제사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② 밭 갈기
은퇴후 전원생활을 할때면 반드시 해야하는 일이죠. 텃밭이든 생계를 유지하는 목적의 농사든간에 밭을 갈아야 곡식과 심고 키워서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봄의 기운이 완연해지면서 겨우내 얼었던 땅도 풀리고, 눈이 녹아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물이 생성되는 시기인 만큼, 춘분이면 농가에서는 농사지을 땅에 물을 대고, 밭을 갈아 농사준비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춘분의 날씨점을 보는 바람과 구름
날씨점을 보는 구름과 바람



③ 날씨점 보기
경칩에 보리 새싹을 보고 한해 농사를 예측했던 것 처럼, 춘분은 농사를 시작하는 기점이기 때문에 바람점으로 보리와 쌀의 풍년과 흉년을, 구름점으로 병해와 자연재해를 점쳤습니다.

  • 바람점 : 춘분날에 부는 바람이 동풍이면 보리가 풍년이 들어 보리 값이 내린다고 믿었으며, 서풍이 불면 보리가 흉년이 들어 보리값이 오른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북풍이 불면 그해에는 쌀이 귀하다고 믿었죠.

  • 구름점 : 보통 구름한점 없이 청명한 날이 운세가 좋을것으로 생각하지만, 춘분만큼은 그러지 않았습니다. 비가 오거나 구름이 많아 날이 어둡고 해가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되면 그해 농사가 잘 될것으로 믿었으며, 청명하면 열병이 많고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구름의 색깔로도 점을 쳤는데요. 춘분날의 구름색이 청색이면 병충해가 들고, 적색이면 가뭄이 들며, 흑색이면 수해가 나고, 황색이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춘분에 먹는 음식


① 나이떡(=머슴떡)
우리 조상들이 명절때마다 빠지지 않고 만들어 먹는게 있죠. 바로 떡입니다. 춘분에도 이날을 기리기 위해 떡을 만들었는데요. 나이떡이라 부르기도하고 머슴떡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떡은 송편모양으로 만들되 아이들이 먹는 나이떡은 작게 만들고, 어른들이 먹는 떡은 크게 만드는데 나이 숫자대로 먹었다고 하니 옛 어른들의 떡 40~50개를 어떻게 드셨는지 궁금증이 폭발 합니다.

나이떡을 머슴떡이라 부르는 이유는 농사의 분기점인 춘분날 만든 떡을 그 마을의 농사일을 책임지는 머슴들과 같이 나눠먹으면서 한해의 농사가 잘되기를 기원했다는 의미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춘분에 먹는 음식인 나이떡과 볶은콩
나이떡과 볶은콩



② 볶은콩
간식이 넉넉치 않았던 어릴적에는 어머니가 가마솥에 볶아주신 볶은콩도 훌륭한 간식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춘분에 먹는 볶은 콩은 간식 이외의 다른 의미가 있는데요. 농사의 분기점이 되는 춘분에 콩을 볶아 먹으면 그해에는 새와 쥐가 사라져 어렵게 농사지은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어진다 믿었다고 합니다.

과학시간에 배워 밤낮의 길이가 같다는 것만 알았던 춘분에도 이렇게 아름답고 의미가 깃든 풍습이 있었다는걸 다시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춘분에는 바람은 북풍, 구름색은 황색이고 비가 내렸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 Please Don't Spam Here. All the Comments are Reviewed by Admin.

Below Post Ad